본문 바로가기
  • Eat well, Travel often.
질병, 질환

급성 신부전, 원인, 증상, 치료, 관리방법

by leejoo121 2025. 3. 26.

급성 신부전(Acute Kidney Injury, AKI)란?


1. 급성 신부전이란?


급성 신부전(Acute Kidney Injury, AKI)은 신장이 갑작스럽게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입니다.
수일~수주 내에 급격한 신장 기능 저하가 발생하며, 조기 치료가 중요함
✔ 혈액 내 노폐물(크레아티닌, BUN) 증가, 전해질 불균형(칼륨 증가),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
✔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회복 가능하지만, 심하면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할 수도 있음


2. 급성 신부전의 주요 원인


✔ 급성 신부전은 발생 원인에 따라 3가지 유형(전신성, 신장성, 후신성)으로 분류합니다.

🔹 1) 전신성(신전성, Prerenal) 원인 – 신장으로 가는 혈류 감소

심한 탈수(Dehydration): 구토, 설사, 출혈로 인해 체내 수분 부족
저혈압(Hypotension): 패혈증, 심부전으로 인한 혈압 저하
신장 혈류 감소: 신장 동맥 협착, 심근경색

🔹 2) 신장 자체(신성, Renal) 원인 – 신장의 직접적인 손상

급성 사구체신염(Acute Glomerulonephritis): 면역반응으로 신장 염증 발생
약물 독성(Nephrotoxic Drugs): NSAIDs, 항생제(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암제
급성 세뇨관 괴사(Acute Tubular Necrosis, ATN): 허혈성 손상, 신독성 물질(조영제, 항생제)

🔹 3) 후신성(Postrenal) 원인 – 요로 폐색으로 인한 소변 정체

전립선 비대증(BPH): 남성에서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한 요로 폐색
요로 결석(Kidney Stones): 요관이 막혀 소변 배출 불가능
종양(Bladder or Ureteral Tumor): 신장에서 방광으로 가는 통로가 막힘

전신성(신전성) 원인이 가장 흔하며, 조기 치료하면 회복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급성 신부전의 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할 수 있지만, 신장 기능 저하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소변량 감소, 전해질 이상(고칼륨혈증), 부종이 급성 신부전의 주요 증상입니다.


4. 급성 신부전의 진단 방법


혈액검사, 소변검사, 영상검사를 통해 신장 기능과 원인을 평가합니다.

🔹 1) 혈액검사

크레아티닌(Creatinine) 상승 → 신장 기능 저하의 주요 지표
BUN(Blood Urea Nitrogen) 상승 → 체내 노폐물 증가
전해질 검사 → 고칼륨혈증(K+ 상승), 저나트륨혈증(Na+ 감소)
혈액가스 검사(ABG) →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여부 확인

🔹 2) 소변검사

소변 내 단백뇨, 혈뇨 확인
FENa(나트륨 배설 분율) → 신전성 vs 신성 감별

🔹 3) 영상검사

신장 초음파(Kidney Ultrasound) → 신장 크기, 요로 폐색 여부 확인
CT 또는 MRI (필요 시) → 종양, 결석 여부 확인

빠른 진단이 중요하며,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5. 급성 신부전 치료 방법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르며, 신장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합니다.

🔹 1) 전신성(신전성) 원인 치료

수액 보충(IV Fluids) → 탈수 및 저혈압 교정
혈압 조절(혈관 수축제, 도파민 등) → 신장 혈류 증가 유도

🔹 2) 신장 자체(신성) 원인 치료

신장 독성이 있는 약물(NSAIDs, 조영제 등) 중단
면역억제제(스테로이드) → 사구체신염 치료

🔹 3) 후신성 원인 치료

요관 스텐트 삽입 또는 카테터 삽입 → 요로 폐색 해소
신장결석 치료(체외충격파쇄석술, 내시경 제거 등)

🔹 4) 전해질 이상 및 합병증 치료

고칼륨혈증 치료(K+ 조절제, 이뇨제 사용)
대사성 산증 교정(중탄산나트륨 IV 투여)
심한 경우 투석(Dialysis) 시행 가능

조기 치료 시 회복 가능성이 높지만, 방치하면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할 위험이 있습니다.

6. 급성 신부전 예방 및 관리


급성 신부전을 예방하려면 신장 건강을 보호하는 생활습관이 중요합니다.
1. 수분 섭취 유지 (하루 1.5~2L) → 탈수 예방
2. 고혈압 & 당뇨 관리 → 신장 혈관 손상 방지
3.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과다 복용 금지
4. 조영제 사용 시 신장 보호 전략 적용 (충분한 수액 공급)
5. 정기적인 신장 기능 검사(혈압, 크레아티닌, eGFR 확인)

특히, 고위험군(당뇨, 고혈압, 신장 질환 병력자)은 신장 건강을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급성 신부전과 만성 신부전의 차이

급성 신부전은 조기에 치료하면 회복 가능하지만, 방치하면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할 위험이 있습니다!


8. 결론

• 급성 신부전은 신장이 갑작스럽게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으로, 신속한 치료가 중요함
•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며, 조기 발견하면 신장 기능 회복 가능성이 높음
• 고혈압, 당뇨, 신장 독성 약물 주의, 충분한 수분 섭취로 예방 가능
• 방치하면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할 위험이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

소변량 감소, 부종, 피로감, 혈압 상승이 나타나면 신장 기능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