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at well, Travel often.
건강검진, 검사

BUN 혈중 요소 질소, 정상 범위, 원인, 의심 질환, 낮추는 방법, 생활 습관

by leejoo121 2025. 2. 25.

BUN(Blood Urea Nitrogen, 혈중 요소 질소)란?


1. BUN(혈중 요소 질소)란?


BUN(Blood Urea Nitrogen)은 혈액 내에 존재하는 요소(Urea) 중 질소(Nitrogen) 함량을 측정한 값입니다.
BUN 검사는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혈액 검사 항목 중 하나로, 신장이 단백질 대사 후 생성된 요소(Urea)를 얼마나 잘 배출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BUN이 높으면 신장 기능이 저하되었거나 탈수, 고단백 식단, 출혈 등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BUN이 낮으면 간 질환, 영양 결핍, 수분 과다 섭취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출처 바른의학연구소

2. BUN 정상 범위

BUN이 20 mg/dL 이상이면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이 있음
✔ 30 mg/dL 이상이면 신장 질환, 탈수 또는 기타 원인 가능
✔ 60 mg/dL 이상이면 심각한 신부전 가능성이 높음



3. BUN 수치가 높은 원인


BUN이 증가하는 주된 이유는 신장이 요소를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BUN 상승 원인
1. 신장 기능 저하 (만성 신장병, 급성 신부전)
   • 신장이 손상되면 요소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하고 혈액 내 BUN이 증가합니다.
   • eGFR(추정 사구체 여과율)과 함께 평가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2. 탈수(Dehydration)
   • 체내 수분이 부족하면 신장에서 요소 배출이 감소하여 BUN이 상승합니다.
3. 고단백 식단(Protein-Rich Diet)
   • 단백질 섭취가 많아지면 단백질 대사가 증가하여 요소 생성이 늘어나고, BUN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4. 소화관 출혈(Gastrointestinal Bleeding)
   • 위장관 출혈이 있으면 혈액 내 단백질이 대사되면서 BUN이 증가합니다.
5. 심부전(Heart Failure)
   • 신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면서 신장이 요소를 배출하는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6. 고혈압 및 당뇨병
   • 장기간 지속된 고혈압이나 당뇨병은 신장 손상을 유발하여 BUN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7. 약물의 영향
   • 일부 약물(이뇨제, 스테로이드, 항생제 등)이 BUN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4. BUN 수치가 낮은 원인


BUN이 낮으면 보통 단백질 섭취 부족, 간 질환, 수분 과다 섭취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BUN 감소 원인
1. 영양 결핍(단백질 부족)
   • 저단백 식단을 섭취하거나 장기간 영양 부족 상태일 경우 BUN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2. 간 질환 (간경변, 간부전 등)
   • 요소(Urea)는 간에서 합성되므로, 간 기능이 저하되면 요소 생성이 감소하여 BUN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3. 과도한 수분 섭취(Overhydration)
   • 체내에 수분이 많아지면 혈액 내 BUN이 희석되어 낮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4. 임신
   • 임신 중에는 단백질 대사가 변화하면서 BUN 수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5. BUN 검사 결과 해석


BUN 단독 검사만으로 신장 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는 없으며, 크레아티닌(Creatinine) 및 eGFR(추정 사구체 여과율)과 함께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UN과 크레아티닌(Cr) 비율(BUN/Cr ratio)을 함께 분석하면 원인 감별에 도움이 됩니다.
✔ BUN/Cr 비율이 20:1 이상이면 탈수 가능성이 높고, 10:1 미만이면 간 질환 가능성이 있음.


6. BUN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방법


BUN 수치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장 건강을 보호하는 생활습관이 중요합니다.

BUN 높을 때 낮추는 방법
1. 수분 충분히 섭취하기 (하루 1.5~2L)
2. 고단백 식단 조절 (단백질 과다 섭취 줄이기)
3. 신장 건강 관리 (고혈압, 당뇨 조절)
4. 탈수 방지 (과음, 지나친 운동 후 수분 보충)
5. 약물 복용 시 주의 (이뇨제, NSAIDs 등)

BUN 낮을 때 높이는 방법
1. 적절한 단백질 섭취 유지 (저단백식 지양)
2. 간 건강 관리 (간 기능 저하 여부 확인)
3. 수분 섭취 조절 (수분 과다 섭취 주의)


7. BUN 검사 관련 FAQ


Q1. BUN 검사는 언제 받아야 하나요?
✔ 신장 기능 평가가 필요한 경우
(만성 신장병, 당뇨, 고혈압 환자)
✔ 탈수, 영양 결핍, 간 질환이 의심될 때

Q2. BUN이 30 이상이면 신장 질환인가요?
✔ 반드시 신장 질환은 아닙니다. 탈수, 고단백 식단, 출혈, 심부전 등도 원인일 수 있습니다.
✔ BUN 단독 검사보다는 크레아티닌과 함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3. BUN과 크레아티닌(Cr) 중 어떤 게 더 중요한가요?
크레아티닌이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더 정확한 지표이며, eGFR 계산에 사용됩니다.
✔ BUN은 탈수, 단백질 대사, 간 기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장 기능 외에도 여러 요인으로 변동할 수 있습니다.
무엇이 더 중요하다기 보다는 신장 기능을 보는데는 크레아틴을 기준으로 보는 것이 좋고 BUN은 보조적인 수치로 함께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8. 결론

• BUN(혈중 요소 질소)는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지만, 단독으로 신장 기능을 진단할 수는 없음.
• BUN이 높으면 신장 기능 저하, 탈수, 고단백 식단, 출혈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음.
• BUN이 낮으면 단백질 부족, 간 기능 저하, 수분 과다 섭취 가능성이 있음.
• 신장 건강을 유지하려면 수분 섭취, 균형 잡힌 식단, 고혈압 및 당뇨 관리가 필수적임.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생활습관 관리를 통해 신장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Creatinine ( 크레아틴 ) 정상수치, 검사, 이유, 관련 질환, 관리방법 - https://leejoo121.tistory.com/m/3

Creatinine ( 크레아틴 ) 정상수치, 검사, 이유, 관련 질환, 관리방법

1. 크레아틴이란 무엇인가요?크레아틴은 근육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물질로, 에너지를 생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운동 중이나 일상적인 신체 활동에서 근육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leejoo121.tistory.com